LG 핸드폰 위약금 조회방법 총정리

Posted by Hide­
2018. 7. 7. 16:51 생활정보

안녕하세요.

오늘은 LG 유플러스 핸드폰 위약금 조회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휴대폰을 사용하다보면 분실, 파손 등 많은 이유로 교체해야 하는 일이 생깁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약정을 걸어놓고 구입을 하는데요.

공시지원금을 받거나 선택약정을 통해 일정 기간동안 할인을 받는 형태로 구입을 하게됩니다.

따라서 약정 기간을 채우지 않고 스마트폰을 교체하는 경우가 발생하면

그동안 사용하면서 할인받았던 금액을 통신사에 지불해야 합니다.

그럴 때 바로 위약금을 조회해봐야 하는데요.

오늘은 LG휴대폰 사용하시는 분들을 위해 위약금을 쉽게 조회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PC로 확인하는 방법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확인하는 2가지 방법을 설명드릴게요.


[PC로 위약금 조회 방법]

먼저 LG U+ 공식 홈페이지로 들어가야합니다.

네이버에 LG U+로 검색하면 홈페이지 주소가 나옵니다.

위 사이트로 들어갑니다.


오른쪽 상단을 보면 위처럼 4가지 메뉴가 존재합니다.

로그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로그인을 진행한 이후에 상단 메뉴를 살펴보면 내 정보관리가 있습니다.

해당 메뉴에 마우스를 올려보면 가입서비스 조회 및 변경 세부 메뉴가 존재하는데요.

내 가입정보로 들어갑니다.


그러면 이렇게 자신의 가입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른쪽에 자세히 보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위처럼 의무 약정 정보가 나오게 됩니다.

오른쪽 상단에 있는 의무약정 정보 자세히 보기 를 누릅니다.


그러면 이렇게 자신의 약정에 관한 정보가 나옵니다.

맨 아래쪽에 빨간색 네모박스로 표시해놓은 부분이 자신이 타 통신사로 이동할 때

발생하여 비용을 지불해야하는 할인반환금입니다.


[모바일로 위약금 조회 방법]

먼저 U+ 고객센터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한 이후 실행시킵니다.


실행시킨 이후 왼쪽 상단에 있는 메뉴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왼쪽에서 메뉴가 생성될겁니다.

빨간색 네모박스로 표시해놓은 내정보관리를 누릅니다.


그러면 또다시 세부 메뉴가 나올텐데요.

여기서 할부약정정보보기 를 누릅니다.


이제 위처럼 할부약정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할부유형 뿐만 아니라 할부 시작일, 종료일까지 나옵니다.

맨 아래 예상 할인 반환금이 번호이동 시 발생하는 위약금입니다.


이상 오늘은 LG 핸드폰 위약금을 조회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추가적으로 공시지원금을 받고 휴대폰을 구입하신 분들은

할인반환금 뿐만 아니라 공시지원 반환금도 얼마인지 꼭 확인하셔야 합니다.

하지만 해당 금액은 공식 홈페이지에서 지원을 따로 안해주는 것 같더라구요.

가까운 대리점을 방문하여 확인해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크롬 영어단어 번역 마우스로 보는 프로그램

Posted by Hide­
2018. 7. 6. 17:48 IT정보


안녕하세요.

오늘은 크롬 브라우저 영어단어 번역을 마우스로 보는 프로그램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저같은 경우 IT계열이기 때문에 최신 자료들을 구글에서 검색하는 일이 많습니다.

영어를 잘하는 편이 아니기 때문에 통째로 파파고/구글번역기 등의 번역기에 돌리는 정도는 아니지만,

본문을 읽어가면서 단어를 찾는 일이 상당히 잦습니다.

하지만 매번 크롬 탭을 이동해가면서 단어를 검색하는게 상당히 번거로운 느낌이더라구요.

그래서 관련 플러그인이나 프로그램이 없나 찾아보던 도중 괜찮은 플러그인을 발견했습니다.

바로 크롬 브라우저를 사용하고 있다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크롬 확장 프로그램인데요.

오늘 바로 이 프로그램의 설치 방법에 대해 자세하고 간단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먼저 주소창에 아래의 주소를 입력하여 크롬 앱에 접속합니다.


chrome://apps


접속하면 아마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게 될텐데요.

웹 스토어를 클릭합니다.


접속하여 왼쪽을 보시면 위처럼 검색할 수 있는 칸이 있습니다.

여기에 tooltip dictionary 을 입력합니다.


그럼 아마 총 3가지의 확장 프로그램이 등장할겁니다.

여기서 빨간색 네모박스로 표시해놓은 첫번째 어플을 설치합니다.

저는 현재 이미 설치를 해놓은 상태이므로 평가하기 버튼이 나오는데요.

아마 처음 설치하는 분들은 CHROME에 추가라는 버튼이 있을겁니다.

해당 버튼을 누르면 설치가 완료됩니다.


그리고 영어단어에 마우스를 올려보면 위와 같이 단어의 뜻이 나오게 됩니다.

저같은 경우에는 거의 2년 넘게 사용해오고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위 프로그램을 통해 보다 편리한 삶이 되셨으면 합니다^^

'IT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7 부팅USB 만드는 방법 총정리  (0) 2018.05.10

맥북 스크린샷 화면캡쳐 단축키 총정리

Posted by Hide­
2018. 7. 6. 11:52 맥OS


안녕하세요.

오늘은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맥북 스크린샷 화면캡쳐 단축키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대부분 처음 접하는 컴퓨터의 운영체제가 윈도우입니다.

따라서 10년이상 윈도우를 사용하다가 맥북, OSX운영체제를 사용하려고 하면 상당히 많은 불편사항을 겪는데요.

사소한 부분이지만 화면 캡쳐, 스크린샷을 찍는 기능도 마찬가지입니다.

윈도우의 경우 Print Screent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복사가 되는데, 맥북에는 특정한 버튼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맥에서 화면을 캡쳐하여 스크린샷으로 저장하는 방법에는 총 5가지가 존재합니다.

오늘 그 방법을 하나하나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단축키로 화면캡쳐 하는 방법]

1. COMMAND + SHIFT + 3

: 화면 전체를 캡쳐합니다. 또한 캡쳐 후 바탕화면, 즉 데스크탑에 "스크린샷 2018-07-06 오전 11.45.41" 등의 파일명으로 저장됩니다.


2. COMMAND + SHIFT + 4

: 드래그를 하여 원하는 영역만 캡쳐합니다. 또한 캡쳐 후 바탕화면, 즉 데스크탑에 "스크린샷 2018-07-06 오전 11.45.41" 등의 파일명으로 저장됩니다.


3. COMMAND + SHIFT + 4 + SPACE BAR

: 특정한 창만 선택하여 캡쳐합니다. 이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캡쳐된 창 테두리에 미세한 영역이 생깁니다.

또한 캡쳐 후 바탕화면, 즉 데스크탑에 "스크린샷 2018-07-06 오전 11.45.41" 등의 파일명으로 저장됩니다.


4. COMMAND + SHIFT + CONTROL + 3

: 화면 전체를 캡쳐합니다. 하지만 1번 캡쳐와는 다르게 파일로 저장되지 않고 클립보드에 저장됩니다.

따라서 COMMAND + V를 통해 붙여넣기할 수 있습니다.


5. COMMAND + SHIFT + CONTROL + 4

: 드래그를 하여 원하는 영역만 캡쳐합니다. 하지만 2번 캡쳐와는 다르게 파일로 저장되지 않고 클립보드에 저장됩니다.

마찬가지로 COMMAND + V를 통해 붙여넣기할 수 있습니다.


이상 단축키를 사용하여 캡쳐하는 방법이었습니다.

추가적으로 맥북 기본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캡쳐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해드릴게요.


[프로그램으로 화면캡쳐 하는 방법]

먼저 Lanchpad(런치패드)를 실행시키고 기타 폴더로 들어갑니다.


그러면 위와 같이 화면 캡처 어플이 존재합니다.

클릭하여 실행시킵니다.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위와 같이 하단 독바에 프로그램이 실행되는데요.

오른쪽 클릭을 통하여 위처럼 "선택 부분 캡처", "윈도우 캡처", "화면 캡처", "Touch Bar 캡처" 총 4가지 기능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같은 경우에는 굳이 프로그램을 사용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여 단축키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알아두면 상당히 편리한 단축키이니 꼭 숙지하세요^^


전사소송 사실조회신청서 작성하는 방법

Posted by Hide­
2018. 7. 6. 11:19 생활정보

안녕하세요.

오늘은 전사소송 시 사실조회신청서 작성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최근에 개인적으로 민사소송을 걸어야 하는 일이 생겼습니다.

지인에게 돈을 빌려줬는데, 지속적으로 돈을 갚지 않았고 갚을 의도가 보이지 않은 경우인데요.

보통 돈을 받아야 하는 경우, 형사/민사로 나뉘게 됩니다.

형사가 적용되는 경우는 피고가 "돈을 갚을 의도가 없을 경우", "돈을 갚을 능력이 없는 경우" 두가지인데요.

저는 법쪽 지식이 풍부한 사람이 아니므로 관련 법은 더 자세히 찾아보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위 내용에 적용이 되지 않을 경우에는 민사 소송을 진행하셔야 합니다.


민사소송의 경우 "대여금반환청구 소송"을 거셔야 합니다.

저같은 경우에는 이미 소송을 걸어놨던 상태였습니다.

하지만 상대방의 이름과 휴대폰번호만 알고있을 뿐 자세한 주민등록번호나 주소를 알지 못했던 상황인데요.

따라서 이러한 경우 법원에서 주소보정 명령이 나오게 됩니다.

이럴 때 사실조회신청을 하여 실제 피고의 주민등록번호와 주소지를 기재하여야 합니다.

사실조회신청에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하지만 저는 휴대폰번호를 알고 있기 때문에 통신사를 이용한 사실조회신청 방법을 소개해드릴게요.

먼저 전자소송 홈페이지로 들어가서 로그인을 진행합니다.


먼저 증거신청서 관련 메뉴로 들어간 후

사실조회신청서를 클릭합니다.


소송유형과 법원을 지정하고 자신의 사건번호를 입력합니다.


신청취지의 경우 기본적으로 위처럼 입력이 되어있을 겁니다.

사회조회촉탁의 목적에


이 사건 소장 부본을 송달하기 위하여 피고의 주민등록번호, 주소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실조회신청을 합니다.


라고 적어줍니다.

그리고 아래에 대상기관의 명칭을 넣어줘야 하는데요.

통신사의 경우 SK/KT/LG 3가지가 있습니다.

상대방이 어떠한 통신사를 사용하는지 모르는 경우에는 3개 통신사에 모두 사실조회신청을 하시면 됩니다.

통신사의 주소는 아래와 같습니다.


 SK텔레콤(주)  서울 중구 을지로 65 (을지로2가, SK텔레콤빌딩)

 (주)케이티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불정로 90

 (주)엘지유플러스 서울 용산구 한강대로 32


이제 사실조회사항 항목을 채워넣어야 합니다.

아래의 내용을 넣어줍니다.


귀사와 관련하여 다음 사항에 대하여 회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귀사의 고객 중 휴대전화번호 010-1234-1234 로 가입한 고객이 있는지 여부


2. 위 번호로 가입한 고객이 있다면 그 명의인의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그리고 맨 아래로 내리신 후 작성완료를 클릭합니다.


그러면 위와 같은 페이지로 이동이 될텐데요.

모든 문서의 내용에 이상이 없음을 확인합니다. 에 체크하시고,

아래에 있는 확인 버튼을 누릅니다.


사실조회신청도 비용을 납부해야 한다고 하는데요.

저같은 경우에는 0원으로 나와서 그냥 맨 아래에 있는 다음 버튼을 눌렀습니다.


그리고 제출을 누르신 후 전자서명을 하면 사실조회신청이 완료됩니다.

애드센스 종합소득세 세금 신고방법

Posted by Hide­
2018. 5. 27. 17:05 생활정보

오늘은 애드센스 세금, 즉 종합소득세를 신고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해드릴게요.

블로그 및 사이트를 통해 돈을 버는 방법 중 가장 대표적인게 바로 광고입니다.

나만의 사이트에 광고를 달아서 방문하는 사용자로부터 돈을 벌 수 있는데요.

많은 광고 플랫폼들이 존재하지만 아마 가장 많은 분들이 사용하시는게 바로 애드센스 일겁니다.

애드센스를 사용하여 수익을 창출하다보면 한가지 궁금한점이 생깁니다.

바로 세금을 내야할까? 인데요.

저도 세금관련 전문가가 아닌 입장에서 많은 정보들을 찾아봤는데 결론은 내야 한다. 인 것 같습니다.

이 부분은 검색해보면 많은 정보가 나올테니 따로 설명하진 않겠습니다.


따라서 애드센스로 창출한 수익도 세금을 내야 하는데,

매년 5월에 진행하는 종합소득세 신고기간에 신고하시면 됩니다.

종합소득세는 신고하는 년도 기준 1년전의 총 소득을 신고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금년은 2018년이므로 2017년의 총 소득을 신고하면 됩니다.

먼저 아래로 들어가서 국세청 홈텍스 사이트로 들어갑니다.


https://hometax.go.kr


위 사이트로 들어가면 여러가지 메뉴가 나옵니다.

그 중 아래에 있는 종합소득세 신고버튼을 누릅니다.


먼저 로그인을 진행해야 합니다.

기본적인 민원 관련 업무가 아니라면 비회원으로써 할 수 있는 기능이 얼마 없기 때문이죠.

회원가입을 눌러서 공인인증서 또는 휴대폰으로 인증을 하면 간편하게 가입할 수 있습니다.

가입하고 로그인을 진행합니다.


로그인을 진행하고 나면 또 위처럼 많은 메뉴들이 나옵니다.

여기서 두번째 메뉴인 일반신고서 - 정기신고 작성으로 들어갑니다.


아마 회원가입 시 작성했던 내용들을 기반으로 기본적인 정보들이 채워져 있을텐데요.

납세자 번호 옆에 있는 조회를 누릅니다.


여기서 자신의 소득종류에 맞게 선택하시면 됩니다.

저같은 경우 아직 학생이기 때문에 다른 소득은 없고 애드센스에 대한 소득만 있기 때문에

기타소득 부분에 체크했습니다.

위 내용대로 적용하기를 누르고 초기화면에서 저장 후 다음이동을 누릅니다.


이제 실제 수입에 대해 등록해야하는데요.

소득구분을 누른 후 기타소득(60)으로 선택해준 후 총 수입금액에 금액을 적어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등록하기를 누르고 아래에 있는 저장 후 이동을 누릅니다.


그다음 페이지에서도 개인적으로 입력해야할 부분이 없으므로 저장후 이동하기를 누릅니다.

세액감면 부분이나 기부금 등 입력해야하는 부분이 있다면 입력하셔야 하지만,

대부분의 사업자가 없는 개인의 경우 특별히 따로 입력할 부분이 없을겁니다.


마지막으로 이 페이지까지 저장 후 다음으로 이동을 누르시면 됩니다.

위 페이지에서는 현재까지 입력한 내용을 바탕으로 납부해야할 세금을 알려주므로

신경써서 꼼꼼히 내가 정확하게 입력했는지 확인해야합니다.


최종적으로 납부해야하는 금액은 위에서 확인해보시면 됩니다.

아마 개인에게 기본적으로 150만원이 소득공제가 들어가기 때문에 저같은 경우는

처음 생각했던 것보다 상당히 적은 금액이 나왔네요.

확인 후 모든게 맞다면,


약관에 동의하시고 신고서 작성완료를 누릅니다.


위 페이지에서 마지막으로 한번 더 확인하신 후 신고서 제출하기를 누르면

종합소득세 접수가 완료됩니다.

최종적으로 정산된 세금을 입금하면 애드센스 종합소득세 세금신고가 끝납니다.

처음 세금을 내보는거라 조금 헷갈리는 부분도 있었는데요.

막상 진행해보니 크게 어려운 점은 없었던 것 같네요.

위 내용 참고하셔서 쉽게 종합소득세 신고하시길 바랍니다.

윈도우7 부팅USB 만드는 방법 총정리

Posted by Hide­
2018. 5. 10. 11:00 IT정보

안녕하세요.

오늘은 윈도우7 부팅USB 만드는 방법에 대해 소개해드릴게요.

요즘 나온 최신 윈도우는 윈도우7이 아닌 윈도우10입니다.

많은 분들이 사용하고 계시고 그만큼 최신 보안패치 등이 활발하게 진행되는데요.

요즘 랜섬웨어 등으로 인한 피해가 상당하기 때문에 최신버전의 윈도우를 사용하는게 권장됩니다.

하지만 연세가 어느정도 되시는 어르신분들은 기존에 사용하던것이 아닌 새로운 윈도우는 아마 좀 불편하실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 지인으로부터 연락을 받고 기존에 깔려있던 윈도우10을 지우고 윈도우7을 깔아드렸습니다.

그러한 과정을 다른분들에게도 공유해드리고 싶어서 이렇게 포스팅으로 정리해드립니다.

먼저 아래의 파일을 다운받습니다.


Windows7-USB-DVD-Download-Tool-Installer-en-US.exe


다운받으셨으면 설치를 해줘야 합니다.


아래에 있는 Next를 누릅니다.


아래에 있는 Install을 누릅니다.


설치가 정상적으로 성공했다면 아마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올겁니다.

이제 바탕화면에 부팅USB를 만들 수 있는 파일이 생겼을겁니다.


Windows7 USB DVD Download Tool 이란 파일인데요.

더블클릭하여 실행합니다.


여기서 Browse를 누른 후 기존에 다운받아놨던 윈도우7 iso파일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아래에 있는 Next 버튼을 누릅니다.


이제 윈도우를 어디다 부팅디스크로 만들지 선택하셔야 하는데요.

USB를 사용한다면 USB device를, DVD시디를 이용한다면 DVD를 선택합니다.


이제 연결해둔 USB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아마 연결해놓은 상태라면 위처럼 기본적으로 잡혀있을거에요.

그다음 Begin copying을 누릅니다.


선택한 USB에 있는 모든 파일을 지워야 진행할 수 있다고 나옵니다.

Erase USB Device를 누릅니다.


정말로 USB의 모든 내용을 지울거냐고 물어보는 확인창입니다.

예를 눌러서 USB를 포맷시킵니다.


그러면 위처럼 포맷이 진행되고 부팅USB로 만드는 작업이 시작됩니다.

여기서 시간이 조금 소요되기 때문에 어느정도 느긋하게 기다리셔야 합니다.

대략 10분정도 소요되는 것 같습니다.

조금 기다리면 Complete라고 뜨면서 작업이 완료됩니다.

이제 해당 USB를 통해 윈도우를 설치하시면 됩니다~

'IT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롬 영어단어 번역 마우스로 보는 프로그램  (0) 2018.07.06

맥북 패러럴즈 파일 공유하는 방법

Posted by Hide­
2018. 5. 9. 18:08 맥OS

안녕하세요. 오늘은 맥(OS X) 패러럴즈를 사용할 때 파일 공유, 옮기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맥북을 사용하다보면 불가피하게 윈도우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여러 정부사이트나, 기타 작업들이 윈도우에서만 지원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인데요.

맥OS만의 장점도 너무나 크지만 이렇게 윈도우에서만 가능한 작업들이 생기는 경우

곤란할때가 많습니다.

그래서 많은 분들이 부트캠프 또는 패러럴즈를 이용하여 윈도우를 설치하는데요.

저같은 경우는 맥OS를 사용함과 동시에 윈도우를 사용하고 싶기 때문에 패러럴즈를 사용합니다.

파일을 옮길때는 USB를 통해서도 가능하지만 패러럴즈의 공유폴더 설정을 통해서도 쉽게 가능합니다.

먼저 패러럴즈를 킵니다.

공유폴더 설정을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하고

톱니바퀴 버튼을 눌러서 설정으로 들어갑니다.


설정으로 들어가면 새로운 창이 하나 뜨게 되는데요.

여기서 상단을 보게 되면 위처럼 여러가지 탭들이 존재합니다.

여기서 옵션 탭으로 들어갑니다.


여기서 이제 공유폴더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제일 첫번째에 있는 공유폴더 옵션을 클릭해보면,


위처럼 어떤 폴더를 공유할지 선택할 수 있습니다.

저같은 경우 모든 디스크가 아닌 홈 폴더만 공유하고 싶어서 홈 폴더만 설정해줬습니다.

(참고로 가상 이미지를 실행한 상태가 아닌 종료해둔 상태에서 진행하셔야 합니다)


이제 가상 이미지의 시동을 켜보면 위처럼

Parallels Shared Folders라는 폴더가 하나 존재합니다.

더블클릭하여 실행시킵니다.


그럼 위처럼 Home 폴더가 공유된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 맥 OS로 돌아와서 홈폴더에 원하는 파일을 넣으면

패러럴즈의 가상 이미지에서도 해당 파일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Django Facebook 로그인하는 방법

Posted by Hide­
2018. 5. 7. 18:42 개발

Django에서는 페이스북, 트위터와 같은 소셜로그인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라이브러리가 있다.

바로 allauth라는 것인데 이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면 굉장히 간단하게 소셜로그인을 구현할 수 있다.

공식문서는 http://django-allauth.readthedocs.io/en/latest/installation.html 를 참고하면 된다.

먼저 아래의 명령어로 설치한다.


pip install django-allauth

나는 pipenv를 통해 가상환경에 진입하여 작업하는 상황이므로 pip install대신 pipenv를 사용했다.

사용자에 맞춰 설치해주면 된다.

다음으로 settings.py 파일에 있는 INSTALLED_APPS에 아래의 라인을 추가해준다.


'allauth',

'allauth.account',

'allauth.socialaccount',

'allauth.socialaccount.providers.facebook',

추가해준 후 makemigrations, migrate를 차례로 진행해준다.

그다음 어드민 패널로 들어가보면 다음과 같이 새로운 패널이 추가된걸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 Social applications 옆에 빨간색 네모박스로 표시해놓은 Add버튼을 누른다.


Provider는 Facebook을 고르고 Name은 Facebook으로 한다.

이제 Client id와 Secret key를 적어줘야 한다.

이 Key들은 페이스북 개발자센터에서 발급받을 수 있다.

아래의 주소로 들어간다.


https://developers.facebook.com/


상단에 있는 내앱을 누르면 위처럼 하위메뉴가 등장한다.

아래쪽에 있는 새 앱 추가를 누른다.


표시 이름에 원하는 앱의 이름을 적고 앱 ID 만들기를 누른다.

(참고로 gram, facebook등과 같은 단어는 사용할 수 없다)


이제 생성한 앱으로 들어가서 Facebook Login부분을 설정해줘야 한다.


어떠한 제품을 사용할 것인지 골라줘야한다.

나는 웹을 선택했다.


연결할 주소를 적어줘야 한다.

나는 현재 로컬에서 장고로 작업을 하고 있으므로 localhost:8000으로 적었다.

나중에 실제 제품을 릴리즈할 때 수정해줘야한다.

일단 저렇게 하고 Save를 누른다.

그리고 아래에 있는 계속 버튼을 눌러서 설정을 완료해준다.

그런 다음 설정 - 기본설정으로 들어가면 키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rest-auth를 설치한다.

설치방법과 세팅방법은 allauth와 비슷하므로 아래의 링크를 참고한다.


https://django-rest-auth.readthedocs.io/en/latest/


설치를 해줬으면 views.py에 아래의 코드를 추가한다.


from allauth.socialaccount.providers.facebook.views import FacebookOAuth2Adapter
from rest_auth.registration.views import SocialLoginView

class FacebookLogin(SocialLoginView):
    adapter_class = FacebookOAuth2Adapter

그리고 urls.py에 라우팅을 위한 url도 추가한다.


urlpatterns += [
    ...,
    url(r'^rest-auth/facebook/$', FacebookLogin.as_view(), name='fb_login')
]

이제 액세스 토큰(Access token)을 얻어야 한다.

아래의 주소로 들어간다.


https://developers.facebook.com/tools/accesstoken/


들어가면 위처럼 내가 생성한 앱과 토큰이 나온다.

권한을 부여해야 합니다. 를 클릭하여 활성화 시켜주면 User Token에 토큰이 발급된다.

이제 이 액세스 토큰을 사용하여 로그인을 진행하면 된다.

맥북 사진 여러장 한번에 보는 방법

Posted by Hide­
2018. 4. 29. 22:49 맥OS

안녕하세요. 올테크입니다!

오늘은 맥북 사진 여러장 한번에 보는 방법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저는 예전에 윈도우 운영체제를 가진 데스크탑/노트북을 사용했습니다.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이 윈도우 운영체제로 컴퓨터를 처음 접하는 경우가 많을텐데요.

그러다가 중간에 맥북으로 교체를 하게 되었습니다.

맥북은 윈도우가 아닌 OS X라는 맥만의 운영체제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윈도우와는 상당히 다른 부분들이 많이 있는데요.

오늘 소개해드릴 사진 한번에 여러장 보는 방법처럼 사소한 부분들이 바로 그 예입니다.


윈도우같은 경우는 같은 폴더에 여러개의 그림파일이 존재하면 방향키를 통해 쉽게 이동이 가능했습니다.

하지만 맥의 경우 같은 폴더에 사진이 존재하더라도 방향키로 움직일수가 없더라구요.

찾아보니 상당히 쉬운 해결 방법이 존재했습니다.

먼저 한번에 보길 원하는 사진들을 동일한 폴더로 옮겨주세요.

그다음 위처럼 연속으로 보고 싶은 사진파일들을 드래그해줍니다.

드래그를 완료했으면 스페이스바를 누릅니다.

상단에 빨간색 네모박스로 표시해놓은 화살표가 보이시나요?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화살표가 생겼습니다.

이제 화살표 버튼을 눌러서 이동할수도 있고 키보드 방향키 버튼으로도 움직일 수 있습니다.

이렇게 방향키를 통해서도 다음 사진으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생각보다 정말 간단히 해결됐죠?

아무래도 대부분의 사람들이 윈도우 환경에 익숙하기 때문에 처음 맥을 접할 때

헷갈릴수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고 다음에도 좋은 포스팅으로 찾아오겠습니다.

맥북 사파리 팝업차단 해제방법

Posted by Hide­
2018. 4. 27. 18:20 맥OS

안녕하세요!

생활관련 정보를 담고있는 올테크입니다.

오늘은 맥북 사파리 팝업차단 해제방법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아마 맥북을 사용하는 사용자분들은 한번쯤은 겪어봤을 문제가 아닐까 싶습니다.

여러분들은 맥(OS X)을 사용하면서 어떤 브라우저를 주로 사용하시나요?

저는 맥 구입 전, 윈도우를 쓰고있을때는 주로 크롬을 사용했습니다.

가끔 정부사이트를 들어갈때는 크롬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익스플로러도 사용했지만요.

그러다가 맥북을 구입했는데 맥은 윈도우와는 다르게 사파리(Safari)라는 기본 브라우저가 있습니다.

기본적인 퍼포먼스 측면에서도 크롬과 큰 차이를 느끼지 못하여 자주 사용하고 있는데요.

사파리를 사용하여 몇몇 사이트들을 방문했을 때 팝업이 자동적으로 차단되는 경우가 있더라구요.

기존에 사용하지 않던 브라우저이기 때문에 팝업차단 해제를 해줘야 하는데

어떻게 진행해야할지 막막했습니다.

저와 같은 경험을 하는 분들이 분명히 있을거라 생각해서 오늘은 팝업차단 해제방법을 소개해드릴게요.


먼저 사파리를 실행시켜주세요.

그러면 위처럼 상단바가 사파리 관련한 내용으로 바뀔텐데요.

빨간색으로 표시해놓은 Safari를 클릭합니다.


그다음 환경설정으로 들어갑니다.


환경설정으로 들어가면 위처럼 많은 탭들이 보일겁니다.

여기서 보안탭쪽으로 들어갑니다.


그러면 이렇게 웹 콘텐츠 부분 설정을 할 수 있는데요.

맨 아래에 있는 팝업 윈도우 차단에 아마 체크가 되어있을거에요.

이 부분을 체크해제 해주시면 팝업차단이 해제됩니다.


추가적으로 사파리 환경설정부분을 한번씩 보시는게 좋을 것 같아요.

처음 사용하는 사용자들에겐 익숙하지 않은 브라우저이기 때문에 설정을 건들기가 어렵지만

왠만한 건 전부 환경설정안에 있기 때문입니다.

(참고로 아이폰의 기본브라우저도 사파리이기 때문에 거의 동일합니다)